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Journal

Journal

BIKE MAKES ME HAPPY

  • 이미지형으로 보기
  • 리스트형으로 보기
  • Richard Sachs는 무엇으로 빌딩할까?

    2021-01-22 / BIKE MAKES ME HAPPY

     철을 기본으로 자전거를 만들던 시대부터 빌딩 했던 프레임 빌더로서, 리차드 삭스는 언제나 러그를 만지면서 시너지를 가져왔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산업계는 대량생산으로 넘어가면서 철을 대량으로 만들 수 있는 실용적인 재료로 삼았죠.그는 누군가가 만약 1990년대 후반의 프레임 빌딩 상태에 대해 묻는다면, 낙담하고, 진절머리가 나며, 욕만 하는 사람처럼 볼 수도 있을 거라고 할 정도이니까요. 그는 오히려 그 시기를 발판으로 더 나은 튜빙을 개발했고, 현재 프레임 빌딩 커뮤니티를 구성하고 있는 많은 장인들을 위해 재료 공급도 합니다. 리차드 삭스는 1981년, 그 당시 리차드를 위한 공급업체였던 타카하시 프레스 컴퍼니와 함께 처음으로 러그를 디자인했습니다. 리차드가 디자인한 제품은 그들의 새로운 라인이 되었죠. 이전에는 프레임 빌더들은 용접과 조립만 하는 것이 아니고 금속 조각을 하듯 다 일일이 다듬어야 했었죠.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버전을 만드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고품질의 원료에서 더 잘 맞고, 품질이 일정하며, 더 높은 마감도를 지닌 러그를 만드는 것이죠. 그 첫 번째 버전은 1983년 말에 출시되었습니다. 그다음 디자인은 십 년 정도 후, 1990년에 브리지스톤에서 그들이 만들고 있는 로드 바이크를 위한 프레임 러그 세트를 제작해달라는 의뢰였습니다. 타카하시를 위해 디자인했던 것과는 달리 B.B.C(Bridgestone bicycle company) 러그는 누가 봐도 화려한 디테일이 중요했죠. 리차드는 일 년 넘게 미국의 브리지스톤, 일본 본사와 교류했습니다. 프로토타입을 만드는 데는 이틀도 걸리지 않았지만, 그 순간을 위해 복잡한 부품을 생산하기 위한 기술과 그 여부를 심사숙고하는 데 몇 달을 보냈습니다. 안타깝게도 B.B.C는 러그가 만들어지기 전인 90년대 중반에 문을 닫았지만, 프로젝트가 복구되고 Rivendell Bicycles에서 판매하는 프레임에 사용되었습니다.1976년부터 콜럼버스사와 거래를 했다고 하네요. 작업실 서랍에는 이렇게 오래된 자료들이 아직도 가득 있다고 합니다. 그 후 몇 년 동안 산업이 비철강화되었고, 공업용 자전거에 많은 중점을 두면서 고품질의 스틸과 섬세한 러그의 비중이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리차드 삭스는 퀄리티가 떨어지는 공급망에 환멸을 느꼈고, 우물이 말라가고 있다고 느끼고 있었죠. 다른 동료들도 그렇게 느끼고 있었습니다.더 나은 미래를 위해, 그리고 많은 빌더들을 위해 개발하다.2002년에 시대에 맞는 오버사이즈드 규격의 러그 튜빙 세트를 만들었습니다. Richie-Issimo라고 이름을 붙이고 비비쉘과 포크 크라운도 함께 개발했습니다. 그 후 Newvex, Nuovo Richie, 그리고 Rene Singer 러그 세트를 추가했습니다. 리차드가 개발한 러그 세트는 본인뿐만 아니라 동료 빌더들을 위한 것이기도 했죠. 2004년, 다리오 페고레티와 함께 콜럼버스에 제작을 부탁해서 만든 새로운 튜브 세트를 현실화했습니다. 21세기에도 러그 프레임을 계속해서 만들고 있는 장인들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거죠. 2011년에는 훨씬 더 오버사이즈 된 버전의 Pego Richie üOS (über OverSize) 튜빙을 선보였습니다. 그들은 전통적인 것과 미래를 위한 좋은 요소들을 결합하고 싶었습니다. 기술력이 발전함에 따라 스틸 역시 발전합니다.좌측부터 안토니오 콜롬보 리차드 삭스와 크리스티나, 그리고 피에트로리차드 삭스 프레임의 제작 기간은 약 1년 정도가 소요됩니다.

    READ MORE
  • Richard Sachs와 House Industries

    2021-01-12 / BIKE MAKES ME HAPPY

     어디선가 한 번쯤은 본 적이 있는 듯한 친근한 폰트를 만든 House Industries에 대해 소개해볼까 합니다. 하우스 인더스트리스는 앤디와 리치가 미국, 델라웨어 주에서 1993년부터 시작한 회사입니다. 폰트와 제품을 만들고, 다양한 협업을 진행하는 디자인 스튜디오죠. 드로잉, 페인팅, 레터링 등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러한 전통적인 기술들은 아이들을 위한 장난감 블록부터 세계의 의사소통을 위한 폰트에 따뜻함과 영혼을 부여합니다. 갑자기 디자인 하우스 얘기를 하는 것 같아 보이지만 사실은 리차드 삭스와 재밌는 관계가 있기 때문이죠. 안타깝게도 지금은 고인이 되셨지만, 창립자 중 한 명인 Rich는 자전거 타는 걸 즐기는 사람이었습니다. 그는 Velo project를 만들 정도로 자전거를 좋아했죠. 벨로 프로젝트에는 Waterford Precision Cycles에서 제작한 러그드 스틸 핸드메이드 프레임, 폴 컴포넌트 브레이크, 킹 케이지부터 의류, 그리고 폰트도 만들었습니다. ▲공동 창립자: Rich Roat(좌), Andy Cruz(우) 아래는 하우스 인더스트리스의 책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우정과 디자인을 혼합하는 기술은 과학 같은 것이 아니죠. 10대 후반부터 자전거를 만들기 시작한 리차스 삭스는 공장도, 견습생도, 매뉴얼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단지 작업장, 토치, 커팅 도구, 그리고 40년 동안 축적된 지식과 능숙함을 가지고 있을 뿐입니다. 그렇게 리차드는 많은 팬들이 생겼고, 그의 자전거는 주문하기도 힘들었죠. 리치와 리차드는 프레임 빌더와 사이클링 애호가들의 커뮤니티에서 만났다고 합니다. 리치는 자전거 타는 사람처럼 보이지도 않고, 업힐에선 잘 뒤처지기도 했지만, 페달을 밟으며 자전거를 즐겼죠. 그 둘이 점점 더 친해지면서, 그들은 자전거에 대한 이야기보다는 물건을 만들고 기술을 마스터하는 것에 대해, 그리고 통합, 공예, 권위, 공유, 역사가 진실해지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더 많이 얘기했습니다. 몇 년 뒤 어느 날, 자주 그랬듯이 리치는 리차드로부터 이메일을 받았는데, "Yo Rich"라고 가볍게 시작되는 그 메일이 이 모든 걸 시작했다고 합니다.▲Richard Sachs의 과거 디자인 리차드는 그동안 유지했던 프레임의 외관 디자인을 대신할 새로운 디자인을 하고 싶다는 제안을 했습니다. 평생 동안 주문만 받은 리차드는 디자인 리프레시가 필요했습니다. 그 당시에 디자인 커미션이 필요했었는데, 진정한 미국의 헤리티지 브랜드의 외관과 느낌을 디자인할 수 있는 기회는 거부할 수 없었죠. 디자인 팀원인 Bond는 프로젝트에 대한 우리의 첫 대화가 끝나기도 전에 그녀의 리서치를 시작했습니다. "이 사이클로 크로스란 게 다 뭐에 관한 거죠? 자전거의 외관을 다시 디자인하려면 리차드 삭스 팀 스타일도 바꿔야 해요." 리차드는 자전거를 만드는 기간만큼 오랫동안 레이싱과 팀을 운영해 왔습니다. 그의 정체성의 중심이기도 했습니다. 문제는 지난 40년이 넘는 시간 동안, 재정적으로나 물질적으로 서포트를 해왔던 스폰서들의 목록이 굉장히 많았고, 대부분의 프로 스포츠 팀의 디자인처럼 스폰서 로고가 가득한 전형적인 디자인이 나올 수밖에 없었던 것이죠.▼디자이너 켄이 자전거 데칼을 위해 리차드의 서명을 연구한 스케치 노트.▲과거의 리차드 삭스 팀 킷들 우리는 리차드에게 40년의 레이싱 모멘텀을 보존할 의향이 있는지 물었고, 디자인의 무결점과 미관을 위해 모든 것을 싹 벗겨낼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는지 물었습니다. 리차드는 우리를 믿었고, 대부분의 팀 스폰서들은 하우스 인더스트리즈가 제안한 폰트 변화를 흔쾌히 받아주었습니다. 우리의 사랑받는 Neutraface(뉴트라페이스) 폰트를 사용해서 재탄생 할 수 있었죠. 리차드 삭스 프로젝트의 가장 좋은 점은 그것이 결코 끝나지 않는다는 것이죠. 리차드는 모든 자전거와 레이싱 킷에 항상 우리를 넣을 만큼 우리를 존경해 주고, 우리는 리차드의 레이싱 프로그램을 지원하겠다는 장기적인 약속을 할 만큼 그를 존경합니다. 매년 우리는 팀을 스타일링하고, 새로운 팀킷을 디자인하고, 자전거를 위한 색깔을 고르고 (리차드는 매해 팀원들을 위해 최소 8대의 자전거를 만듭니다.), 디자인이 어울리게 스폰서들을 잘 배열하기 위해 노력하죠. 이 프로젝트는 디자인 덕후인 우리가 항상 꿈꾸었던 것입니다. 상업적인 요구와 과정에 대한 믿음이 부족하기보다는 상호 존중과 신뢰를 바탕으로 무언가를 창조하는 것입니다. 리차드 삭스 프로젝트는 최고의 작품과 최고의 우정이 평생 지속될 수 있다는 것을 증명한 프로젝트에요.▲일상생활 속에 많이 사용되는 Neutraface 폰트▲각 브랜드의 로고를 과감히 빼고 폰트로 표기한 스폰서들RICHARD SACHS LOUNGE AT RAPHA NYC 라파 뉴욕에서 열린 리차드 삭스와 하우스 인더스트리스, 허난 밀러, 그리고 DWR (Design Within Reach)가 함께한 2018 Richard Sachs Cyclocross 바이크와 팀 킷을 공개했습니다.

    READ MORE
  • PrototipoㆍWorks

    2020-12-17 / BIKE MAKES ME HAPPY

    1%의 디테일을 위해 디자인된 PrototipoㆍWorks 제품이 입고되었습니다. 작은 볼트 하나의 디테일을 놓치지 않는 호주 브랜드입니다. CNC 가공으로 만들며, 디자인도 깔끔합니다. 강성과 가벼움을 다 잡은 볼트입니다. 비돈 케이지 볼트와 벨브 캡을 만드는 곳입니다. 본인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만들었죠. 낮은 헤드 덕분에 깔끔한 룩을 완성시켜줍니다. 사진 속 제품은 오리지널 비돈 케이지 볼트 의 실버색상입니다. 높이가 낮은 헤드로 깔끔하죠. 316 스테인리스 스틸로 제작했으며, 2개가 한쌍으로 들어있습니다. 쉽게 장착이 가능합니다. 레이저 각인으로 피니싱한 로고는 쉽게 지워지지 않죠. 기본 볼트보다 튼튼하고 더 가볍습니다. 리사이클 가능한 패키지까지 신경 쓴 섬세한 브랜드입니다.

    READ MORE
  • Dario Pegoretti // D'Acciaio (of Steel) by Rapha Film[한글자막]

    2020-12-11 / BIKE MAKES ME HAPPY

    Rapha Film에서 제작된 D'Acciaio(of Steel) 영상입니다. 공방의 모습을 담은 이 영상은 다리오와 피에트로의 모습을 담고 있습니다. 한글 자막을 준비하였으니 보시기 편하실 거예요. 자막은 이경훈 님께서 제작해 주셨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2018년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은퇴를 한 페고레티...그리고 그의 업적을 계속 이어가고 있는 피에트로의 이야기입니다. 영상에서 다리오는 넌지시 은퇴를 이야기하고, 피에트로는 그것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이야기합니다. 하지만 다리오 페고레티가 가장 믿는 사람이기 때문에 그에게 이런 얘기를 하는 거죠. 영상에서 이런 이야기가 나옵니다."피에트로와 다리오 이들의 관계는 피에트로는 못, 땅에 박힌 작은 막대기에 아주 가느다란 선이 매여 있고 반대편 끝에는 붉은 풍선, 아주 아름다운 풍선이 바람에 흔들 거리고 있는데 이게 다리오에요. 다들 풍선에 감탄하죠 얼마나 아름다운지 다들 감탄하지만 줄이, 그리고 막대기가 없다면 풍선은 날아가 버립니다. 둘 사이는 이런 공생 관계라고 할 수 있죠. 제 생각엔 이런 관계가 없다면 페고레티는 존재할 수 없어요"

    READ MORE
  • Emil Lukas x Dario Pegoretti

    2020-11-29 / BIKE MAKES ME HAPPY

    안녕하세요. 오늘은 다리오 페고레티에서 선보인 독특한 Ciavete를 소개해볼까합니다. Ciavete는 다리오 페고레티만의 예측불가한 오리지널 서프라이즈미 옵션이죠. 이번 프레임은 미국의 아티스트, 에밀 루카스와 함께 협업한 작품입니다. 어떤 Ciavete 페인팅은 컬러들과 혼돈 속에서 나오는 경우도 있고, 어떤 것들은 인내심과 꾸준한 노력을 해서 나오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최근에 미국의 아티스트인 에밀 루카스와 함께 협업한 걸 보면, 스스로 그림을 그리는 경우도 있는 것 같습니다.아래는 에밀 루카스가 쓴 글입니다.베니스에 몇번 방문한 적이 있는데, 베니스 비엔날레 동안 베니스에서 전시회를 준비하면서 내가 만들고 있던 조각품에 사용되는 테이퍼트 튜브에 대해 궁금해졌어요. 다리오랑 얘기할 이유가 명확하더군요. 그는 자전거 테이퍼드 튜브에 대한 풍부한 지식과 미드센츄리 모던 가구와 콜롬보/콜롬버스 튜빙 역사를 많이 알고 있기 때문이죠. 콜롬버스 튜빙은 가구에도 많이 사용됐었죠.▼테이퍼드 튜브를 사용하여 만든 에밀 루카스 작품다른 사람들과 마찬가지로 평생 동안 자전거에 푹 빠져 있었습니다. 피츠버그에서 자랐는데, 가장 좋아하는 일 중 하나가 쓰레기 통에서 자전거를 꺼내서 다시 새롭게 조립하는 거였습니다. 항상 나만의 자전거를 만들어보고 싶었는데, 고등학생에게는 무리였었죠.. 다리오와 대화를 시작했을 때, 우리의 대화 주제는 조각들에서 자전거로 빠르게 옮겨갔어요. 점점 더 그가 누구인지, 그가 그의 경력에 있어서 어떤 걸 이뤘는지 알게 되었죠. 그리고 나서 그의 자전거 페인팅에 눈을 돌리기 시작했어요. 자전거에 단순히 데칼을 붙이는 것이 아닌, 더 깊은 곳에 관심이 있다는 생각에 완전히 매료되었죠. 그는 에너지를 페인팅으로 풀어내고 싶어했습니다. 머릿속은 수 십 년 동안 함께해 온 그림의 어휘와 평행선을 이루었는데, 그건 바로 수천 마리의 유충을 한 표면 위에 잉크로 표현하는 것이었죠. 바로 프레임에 유충으로 그려보자고 했고, 그 다음에 이탈리아에 갈 때 그에게 보여줄 샘플 튜빙도 챙겨갔죠. 빈티지 Sumi 잉크를 통해 그을음의 미세한 성질을 발견했습니다. 일본식인데, 나라현에서 자란 특별한 나무에서 그을음을 채취해 사슴 뿔과 섞어 작은 덩어리로 만듭니다. *루카스는 우리가 알고있는 먹과 벼루를 이용해서 먹물을 만들어서 그걸 재료로 사용했습니다. 그걸로 인해 선에 관한 3차원적인 새로운 관점을 보게되었죠. 모든 것을 한곳에 묶어버리는 접착제나 바니시 같은 바인더는 너무 약하고 얇아서 한 마리의 유충이 다시 그 선 위로 기어오르거나, 다른 유충이 선 위를 지나가면 선을 지워지더군요. 그래서 자연스럽게 선이 앞이나 혹은 뒤에 있게 되면서 더 심층적인 관점을 보여줍니다. 캔버스나 프레임에 작업을 할 때, 한마리에서 다섯마리 정도의 유충들이 그 위를 기어가게 냅두는 걸로 시작을 합니다. 그동안 나는 그 주변 환경을 조절하죠. 마르게 냅둘 수도 있고 미스트를 뿌려서 촉촉하게 둘 수고 있고, 후후 불기도 하면서 너무 많은 물을 뿌리지 않고 그들이 움직일 수 있는 최고의 환경을 만들어줍니다. 페고레티 팀이 페인팅 하는 걸 따라하기위해, B.B, 싯포스트, 헤드셋 부분을 테이블에 고정시켜서 모든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게하면서 프레임은 절대 만지지 않아도 되도록 했습니다. 그래서 유충들이 튜브를 따라 기어다니거나 튜브를 타고 기어다니는 춤의 향현 내내, 프레임을 돌리거나 입으로 온기와 수분을 채워주면서 만들어낸겁니다. 여러가지 측면에서 그림을 그리는 것은 정말 물리적인 방법이기도 합니다. 수천마리의 유충을 데리고 의도하는 수백만개의 선을 물리적으로 만드는 거죠. 온도, 진동, 습도, 빛의 방향, 태양과 창문의 위치도 이용해서 만듭니다. 정말 멋진 거에요. 항상 물리적인 물체에 이런 행동을 하고 싶었는데, 어떤 물체를 이용해야할까 했었습니다. 한번도 대답을 해 본 적이 없어요. 그래서 이렇게 만든 작품은 정말 소중한 것이 되고, 세상에 직면한 문제들에 대한 해결책의 일부라고 생각하기도 합니다.▼2017 샘플 튜빙다리오 페고레티에 관한 더 자세한 사항은 여기에서 확인해주세요.

    READ MORE
  • 2020 Masters Cycling Tour Korea with No.22 | Reactor

    2020-11-18 / BIKE MAKES ME HAPPY

    안녕하세요. BIKE MAKES ME HAPPY입니다. 저번 주 금, 토, 일요일에 무주에서 아마추어 레이스-Masters Cycling Tour Korea Championship이 열렸습니다.올해는 Covid-19 때문에 MCT 레이스가 여러 번 취소되었었죠. 그래서 올해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열린 MCT였습니다. 원래는 S 리그, D 리그 따로 진행하지만, 이번에는 S 리그, D 리그가 함께 참가했습니다.자세한 내용: http://mct.cycling.or.kr/ 레이스를 준비하는 팀 저서 소속 마헌님과, 광주의 JM BIKES 종민님 두 선수 모두 이번 대회에 No.22 Bicycles l Reactor를 타고 나갔습니다. 티타늄 바이크로 참가하여 많은 분들의 이목을 끌었죠. No.22 Bicycles의 Reactor(리액터)는 No.22 Bicycles 모델 중에서 가장 로드 레이스에 적합한 프레임입니다. 튼튼함과 가벼움, 그리고 빠른 반응의 핸들링까지 갖춘 완벽한 티타늄 레이스 자전거죠. 체인 스테이는 지름 25.4mm이며, 튼튼함을 높이기 위해 B.B 부분을 30mm까지 확장시켰습니다. 그 결과 한층 더 로드 레이스에 적합한 티타늄 자전거로 탄생하였죠. 이번 대회를 위해 많은 분들이 수고해 주셨습니다. 포토, 마샬, 경찰 관계자 여러분들께 다시 한번 감사의 말씀을 전합니다. 이마헌, 성종민님께서는 2박 3일간 아무 사고 없이 멋진 경기와 멋진 성적을 보여주셨습니다. 성종민님께서는 전체 순위 7위, Cat 3[Age :35-40]에서 1등이라는 멋진 성적을 보여주셨으며, 이마헌님께서는 첫 출전에도 불구하고 2박 3일간 DNF 없이 끝까지 완주하셨습니다. 모두 수고하셨습니다. :-D

    READ MORE
  • Breadwinner Cycles | Bad Otis @Chris King

    2020-10-31 / BIKE MAKES ME HAPPY

    진짜 오픈할 순 없었던(!) 크리스 킹 오픈 하우스에 전시된 브래드위너를 소개해볼게요. 모델은 MTB 장르의 Bad Otis입니다. 하드테일, 올마운틴, 트레일 바이크죠. 헤드 튜브 앵글도 센 편이고, 그래서 포크도 길게 씁니다. 체인 스테이는 비교적 짧고요. 타이트하고 빠른 주행감을 초점에 둔 자전거입니다. 다운 튜브에 들어가는 브래드위너의 로고 글씨체는 안 바꿔줍니다. 저희 고객님을 위해서 아주 특별하게 바꾼 적이 있는데 그걸 제외하고는 처음 보는 것 같아요. 클래식 Ducati에서 영감을 받은 페인팅🖌 모터사이클도 즐기는 브래드위너의 두 빌더, 아이라와 토니가 좋아하는 모델인 클래식 두카티에서 영감을 받았다고 하네요. 컬러와 디자인이 심플하고 클래식하죠. 탑 튜브에도 디자인 디테일을 넣었습니다.FOX 데칼 컬러도 무광 블랙+무광 골드로 매치했습니다. 구동계는 새로운 스램 이글 1x로 세팅했습니다. 모든 트레일이 충분히 커버되는 기어비를 사용했습니다. 인터널 라우팅으로 175 드로퍼 포스트 깔끔하게 조립했습니다. 크리스킹채널에서 이번 2020 오픈 하우스에 대해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안장은 이번에 한정수량으로 발매한 브룩스 x 크리스 킹 에디션 안장을 사용했습니다. C15와 C17 두 가지 모델을 골드 아노다이징 리벳으로 출시했습니다. 아래 영상과 사진을 감상해주세요. :-)photo by @theradavist1981 Ducati 900 SuperSport Desmo

    READ MORE
  • 2020 "NOT SO OPEN" Chris King Open House

    2020-10-30 / BIKE MAKES ME HAPPY

    오늘은 크리스킹 오픈하우스 2020이 온라인으로 열렸습니다. 작년에만 해도 라이딩도 같이하고, 모여서 맛있는 것도 먹으며 신제품을 소개했었죠. 2019 크리스킹 오픈하우스 photo by @theradavist올해는 온라인으로 오픈 하우스를 구경해봅니다. 영상은 23분 정도 됩니다. :) 10명의 빌더들이 만든 프레임과 Yeti, Brooks 그리고 중간 중간 라이더들도 나옵니다. 새롭게 보여준 컬러는 무광 블랙+골드 조합과 기존에 보여줬었던 골드 컬러를 선보였습니다. 아래는 예전에 발매했던 골드 컬러.아래는 예전에 발매했던 골드 컬러.이번에 선보인 아이들은 기존의 크리스킹과 다른 글씨체죠?영상을 보면 크리스킹 본사의 내부도 구경하실 수 있습니다. 내부에 빌더들이 만든 프레임들을 구경하며 한바퀴 둘러봅니다. 몇년전에 크리스킹 투어를 한 적이 있는데 정말 깔끔하다고 느꼈었어요.A CERTIFIED B CORPORATION을 받은 기업인 만큼 부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칩(쇠 찌꺼기)을 알루미늄과 스틸로 나눕니다. 그러고 나서 흩어진 칩들을 조밀하게 압축하면서 절삭유를 변형 및 분리합니다. 이를 통해 운반과 재활용이 훨씬 쉬워집니다.옛날 텔레비전을 보고있으면 자연스럽게 영상이 넘어갑니다.소리가 나서 지하로 내려가보니 떨어져있는 허브제자리에 두니 방긋 ㅎ_ㅎ 일본 크리스킹을 담당하고 있는 Circles, 일본스러운 영상이죠. Yeti의 35주년을 위한 에디션심플 바이시클은 크리스 킹과 브룩스를 위해 골드 리벳을 제작해주었습니다. 오스카와는 냅스에서 만나서 얘기해봤었죠.아래는 Erik Nohlin과 Kayla가 페인팅한 프레임과 크리스 킹 조합.셀로판지로 콕콕뽀뽀를 날리는 타일러 피니와 울트라 로맨스답게 크리스 킹을 응원하는 영상도 나옵니다.2020년도는 참 모두에게 어려운 한 해였던 것 같네요. 2021년에는 더 좋은 소식들로 가득하길 기대해봅니다. 2021년 상반기에 발매될 새로운 크리스 킹 제품들도 기다려집니다. 신제품 발매와 함께 BMH에서도 소개해드릴게요. 감사합니다.

    READ MORE
  • PEGORETTI l 피에트로에 대하여.

    2020-10-22 / BIKE MAKES ME HAPPY

     페고레티의 수장, Pietro 페고레티의 오랜 친구, 페고레티의 오른팔, 페고레티의 유산과 정신을 가장 잘 알고 이해하고 있는 피에트로는 20년간 다리오의 곁에서 함께하던 사람입니다. 피에트로는 이제 막 시작한 빌더가 아닙니다. 다리오가 암 투병을 하면서 점점 제작에서 손을 뗐고 피에트로가 만들었죠. Pietro는 다리오와 2001년부터 함께 일하기 시작했습니다. 피에트로는 2004년부터는 풀타임으로 다리오에서 일했죠. 피에트로는 원래 용접 일을 하던 숙련된 용접사였지만, 다리오가 피에트로에게 두께가 0.5cm도 안되는 스틸 자전거 튜빙을 다루는 섬세한 기술들을 알려준 거죠. 다리오는 자신을 그리워하고 좋아해 주는 팬들에게 피에트로가 프레임을 만드는 사람이라고 수도 없이 말했지만 다리오의 팬들은 다리오를 그리워하죠. 하지만 피에트로는 자신감이 있습니다. 그는 그의 능력을 알고 있고, 그의 기술은 다리오만큼이나 대단하다고 빌더들 사이에선 정평이 나있습니다. 피에트로랑 얘기하기 시작하면 말도 많아지고 손동작도 많아지고 이탈리아 속어도 많이 씁니다. 피에트로는 다리오가 '선생님' 같진 않았다고 해요. 다리오는 시범은 보여주지만 어떻게 하라고 지시하지는 않는 스타일입니다. Crisp의 빌더 Darren Crisp이 다리오 공방에 방문했을 때 일입니다. Darren는 미국 프레임 빌더이지만 이탈리아에 살고 있습니다. 휴스턴에서 자란 건축가였던 Darren에게는 다리오가 아버지 같은 존재였다고 합니다. 다리오와 Darren은 자전거와 삶에 대해 자주 얘기를 나누던 사이였다고 합니다. Darren은 티타늄 빌더로 자리를 잡아가는 상황이었는데, 프레임 빌더처럼 웰딩을 하진 않았다고 해요. 어느 날 기술적인 것에 대해 얘기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다리오가 토치를 잡고 앉아서 비비쉘 부분을 용접하는 걸 보여줬어요. 다리오의 손을 보자마자 본인이 여태껏 잘못했었구나 싶었다고 합니다. 용접 강도를 조절하는 그의 발과, 손의 리듬이 토치의 맥박에 맞춰 톡톡 용접하는 걸 보면서 어떤 말로도 표현할 수 없는 이해를 얻었습니다. 그는 다리오가 보여준 것이 본인의 방향성을 바꿨다고 합니다. 어쩌면 다리오는 피에트로를 후계자로 콕 집어서 말하지 않았을 수도 있고, 안드레아(현재 페고레티 공방의 페인터)를 페인터로 정하겠다고 떠들고 다니지도 않았지만 다리오를 아는 사람들에게는 이미 정해져있었습니다. 다리오를 몰랐던 사람들은 Of Steel(라파와 RSA 필름에서 제작했던 영상)이나 다른 인터뷰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다리오와 피에트로가 형제처럼 떠드는 것을 보면 알죠. Darren은 "다리오가 Of Steel을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려 했던 것 같아요. Of Steel 영상에서 다리오가 피에트로 가슴을 쿡쿡 찌르며 말하죠. 야 잘 들어, 나는 은퇴할 거야. 이건 다 네 거가 될 거야! 계획되거나 대본을 짜놓은 게 아니고, 피에트로에게 자연스럽게 넘기고 있던 거겠죠." 당신이 볼 수 있다면 진실은 거기에 있어요.Ben Ingham의 시선으로 다리오 페고레티와 그의 공방의 모습을 담은 영상. 왼쪽부터 Pietro, Gianmaria, Cristina 그리고 Andrea

    READ MORE
  • About Richard Sachs.

    2020-10-21 / BIKE MAKES ME HAPPY

    여러분은 지금 어렸을 때 꿈꾸던 일을 하고 계시나요? 저는 패션디자인을 전공했지만, 핸드메이드 자전거 매력에 빠져 빌더들과 소통하는 일을 하고 있네요. 46년째 직원도, 후계자도 없이 혼자 오롯이 프레임을 제작하는 리차드 삭스도 글 쓰는 게 좋아서 작가가 되는 꿈을 꿨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1972년 영국으로 갔던 리차드 삭스는 프레임 빌더가 꿈이었거나 자전거 업계에서 일하기 위해 영국으로 갔던 건 아니었습니다. 1960년대 후반에 십 대였던 그는 평범한 청소년이었습니다. 1971년 Peddie 스쿨을 졸업하자마자, 글쓰기에 소질이 있던 삭스는 영국에 있는 Goddard 칼리지에 입학하는 것이 목표였습니다. 대학에 합격한 삭스는 영국으로 넘어갔습니다. 입학이 미뤄지면서 일 년 가까이 되는 시간이 생긴 그는 생각지 못한 일을 하게 됩니다. 붕 뜨는 시간 동안 돈을 벌기로 한 그의 눈에 바이크 미케닉을 구하는 신문 광고가 눈에 들어오죠. 그는 지원했지만 비웃음만 당하고 떨어졌습니다. 그는 오기가 생겨서 영국에 있는 프레임 회사 30여 군데에 편지를 썼죠. 그중 영국, Deptford에 위치한 Witcomb Light Cycles에서 받아주었고, 그 해 말에 그곳에서 일하는 본인을 발견합니다. 그는 계속 머물렀고, 체류 기간을 연장했죠. 지금도 그는 말하지만 본인은 자전거 빌더가 되려고 한 적은 없지만, 자전거 빌더가 되었다고 합니다. 그는 자전거에 관심이 있긴 있었지만 열정까지는 아니었습니다. 빌더보다는 사이클리스트에 가까웠죠. 리차드 삭스는 지금도 RSCX라는 사이클로 크로스 팀을 운영하며 CX 대회에 참가하는 사이클리스트입니다. RSCX - Richard Sachs Cyclocross그는 Witcomb에서 지내면서 일을 하고, 그렇게 프레임 빌딩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그곳에서 프레임 빌딩에 대한 기본적인 것들을 배웠습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그가 프레임 빌더가 된 건 아니었죠. "프레임 빌딩을 배웠다고 해서, 프레임 빌더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프레임 빌딩뿐만 아니라 모든 것 적용되는 말 같습니다. 다양한 경험을 하며, 차곡차곡 실력을 쌓아야 그 분야에 있어서 장인이 되는 거겠죠. 할 줄 아는 것과 잘 하는 것은 다릅니다. 그곳에서 배웠던 것들을 토대로 그의 개인적인 경험들까지 더해서 온전히 그의 것으로 만들기까지 몇 년이 더 걸렸습니다. 영국의 Witcomb를 미국으로 정식 수입을 하면서, Witcomb USA에서 수백 개의 프레임을 만든 후, 비로소 1975년에 Richard Sachs Cycles를 만들었습니다. 어느 인터뷰에서 본인 스스로 프레임 빌더로 인정하기까지 얼마나 많은 프레임을 빌딩 했었냐는 질문에 그는 이렇게 답했습니다. "몇 대를 만들었다고 말하기는 애매해요. 프레임 빌더의 정의는 문자 그대로가 아니기 때문이죠. 작업하면서 100% 내 몸이 편안하다고 느끼기까지 최소 20년이 걸린 것 같아요. 요즘 빌더들이 사업을 시작하고 프레임 빌딩을 하면서 돈도 벌어야 하고, 이 프레임이 가치가 있다는 것도 알려야 하는데 그걸 어떻게 다 하고 있는지 모르겠어요. 이전 세대 또는 더 이전 세대부터 시장이 변한건 확실합니다. 스스로 프레임 빌더라고 정의하는 친구들도 많아요. 인터넷은 번식의 장이라고 볼 수 있죠. 지금 빌딩을 하는 친구들 중에 10년이 지나도 빌딩을 하는 친구들이 얼마나 있을지는 미지수네요."그는 항상 말합니다. "Because technology alone is a poor substitute for experience""기술만으로는 경험을 대체하기에 부족하다." 신문으로 광고하던 시절70-80년대 리차드 삭스 팀과 현재도 활발히 활동 중인 2020년 RSCX 팀 미국 시계 제조사인 RGM도 스폰서. 그렇게 탄생하게 된 RGM x RS리차드 삭스는 전 세계에서 딱 2개의 판매처를 통하여 주문이 가능합니다. 미국의 Black Oak Velo, 그리고 BIKE MAKES ME HAPPY 두 곳에서만 Richard Sachs를 판매합니다. 새삼스레 리차드 삭스 프레임을 소개할 수 있다는 게 영광이라고 느껴지네요. 리차드 삭스 프레임의 제작 기간은 약 1년 정도가 소요됩니다. 더 자세한 사항은 문의하세요.☎ 070-7576-0888📧 info@bikemakesmehappy.com

    READ MORE
  • 이탈리안 사이클링의 역사, Dario Pegoretti

    2020-10-16 / BIKE MAKES ME HAPPY

    예전에 피에트로와 다리오의 이야기를 올린 적이 있었죠. 오늘은 다리오의 스승이자 장인어른이었던 루이지노 밀라니의 이야기와 2011년도에 인터뷰했던 내용을 소개해볼게요. 다리오의 삶은 일과 예술이 어우러져있었습니다. 페고레티는 우아한 실루엣과 아주 섬세한 디테일까지 뭐하나 놓치는 부분이 없죠. 페고레티는 프레임에 TIG 용접을 시작한 빌더입니다. 배우 로빈 윌리엄스도 다리오 페고레티의 팬으로 유명했죠. 실제로 여러 대의 다리오 페고레티를 탔었고, 직접 다리오를 만나기 위해 바이크쇼를 방문했었죠. 다리오는 프레임을 제작하면서 페인팅까지 했습니다. 많은 빌더들이 빌딩과 페인팅을 둘 다 하지만 다리오는 달랐습니다. Ciavate라는 아트웍을 프레임이 담아냈죠. 누구도 시도하지도 않았던 방식이고 쉽게 따라 할 수도 없습니다. 예술성으로도 인정받은 다리오는 Stuttgart State Academy of Art and Design(250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독일 최대의 미대중 하나) 슈투트가르트 국립조형예술대학의 Hans-Georg Pospischil 교수와 함께 학생들의 디자인을 프레임에 옮겨 표현하는 프로그램도 진행했습니다. 암으로 고통받았던 다리오는 이 프로그램에서 판매된 프레임의 수익금은 Stuttgart에 소아암 환우들을 위해 사용했습니다. 토치에 불을 붙이기 전에 항상 먼저 하는 일은 음악을 트는 일이었고, 음악, 건축, 목공, 와인 등 여러 방면에 관심이 많았습니다.로빈 윌리엄스와 그의 페고레티

    READ MORE
  • 다리오와 리차드 삭스, 그리고 PegoRichie

    2020-10-16 / BIKE MAKES ME HAPPY

     2003년, 리차드 삭스가 이탈리아 중부 Matera에서 자전거를 타고 투어를 하고 있었는데 튜빙이 부러지는 일이 발생했습니다. 스트레스를 많이 받는 부분도 아니고, 무게를 많이 싣지도 않았는데 그냥 부서졌습니다. 그날 밤, 호텔에서 다리오 페고레티에게 전화를 걸었습니다. 다리오가 더 나은 생각이 있지 않을까 했지만 그도 역시 리치와 마찬가지로 왜 부러졌을까 하고 고민하고 있었죠. 둘은 본인들과 같은 일을 하는 사람들에게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결정했습니다. 시장은 계속 변하는데 1990년대에 러그 프레임들을 위한 튜빙 옵션들은 줄어들었고, 리차드 삭스와 다리오 페고레티는 그 문제를 본인들이 직접 해결하기 위해 나섰습니다. 그 당시엔 아주 오랫동안 튜빙 개발을 하지 않았던 공급자들이 준 재료를 사용해서 프레임을 빌딩하고 있었습니다. 튜빙 회사의 신제품들은 대부분 비철 재료를 사용하여 본딩, 티그 용접 등 대량 생산을 지향하는 제조업체들을 위한 것들이었고, 러그 프레임을 제작하는 핸드메이드 빌더들을 위한 러그 전용 튜빙은 없었죠. 리차드 삭스와 다리오 페고레티는 콜럼버스 튜빙사의 직원에게 연락해서 본인들이 원하는 튜빙을 설명했습니다. 시대에 알맞은 최신 소재를 사용해서 오버사이즈 튜빙을 만들자는 컨셉으로 시작해서 계속 개발해나갔습니다. 2004년 말에 협업으로 출시한 튜빙 세트는 브레이징과 러그를 사용하는 사람들을 위해 특별히 제작된 튜빙 세트였습니다. 페고레티와 리차드 삭스의 이름을 따서 PegoRichie라고 이름을 붙였죠. 원래 이 프로젝트는 Spirit For Lugs라는 이름이었죠. PegoRichie 튜빙이 탄생된 이후 십몇 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프레임 빌더들이 원하는 길이, 무게, 타원형의 튜빙, 카본 포크의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그에 맞는 사이즈의 튜빙들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페고리치 튜빙은 많은 빌더들이 사용하고 있죠. 그리고 이 둘은 아무도 하지 않은 것들을 했던 빌더들입니다. 다리오는 유럽과 미국에서 큰 인기를 얻었던 데다차이 튜빙을 개발하는 것도 도와줬습니다. 다리오와 리치의 돈독한 관계는 다리오가 떠난 후에도 이어지고 있습니다. 페고레티 공방을 이끌고 있는 피에트로는 얼마 전에 리차드 삭스를 위해서 프레임을 선물했죠. 리치가 베로나에 놀러 갔을 때, 피에트로에게 안장 높이, 안장 코에서 핸들바까지 리치를 알려줬는데 프레임 셋을 만들어서 보내줬다고 하네요.리치와 다리오

    READ MORE

이전 페이지
  1. 1
  2. 2
  3. 3
  4. 4
  5. 5
다음 페이지